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

번행초를 아시나요? 번행초는 우리나라 산야초 중 위장에 좋은 3대 산야초이다. 그만큼 위장 질환에 좋다는 것이다. 번행초는 뉴질랜드 시금치라고도 하는데 이는 동남아 등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는 남해안 및 제주도에 자생을 많이 하고 있다. 먹는 방법도 다양하다. 봄에는 나물로 데쳐서 먹고 겨울에는 차로 먹어도 된다. ▣ 번행초란? 번행초는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전초를 말려서 약재로 사용하는데, 염증을 억제하고 해독 작용이 뛰어나 위장 등 소화기에 좋으며 해변의 모래땅에 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온몸에 작은 점이 빽빽하게 나 있는 줄기는 땅에 엎드렸다가 점차 일어서며 50cm 정도의 높이로 자라나 약간의 가지를 친다. 두껍게 살이 찐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고 있으며 계란 꼴에 가까운 마름모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 2023. 6. 30.
간 건강과 엉겅퀴(밀크씨슬) 간 건강과 엉겅퀴는 너무 유명하다. 엉겅퀴에는 밀크씨슬 성분이 많기 때문에 간염증, 간이식 후의 엉겅퀴를 먹고 많이 좋아졌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특히 엉겅퀴는 우리나라의 어느 지역이든지 잘 자라고 흔한 산야초이다. 특히 군락지에서 5월쯤 보랏빛 꽃이 필 때에는 꽃조차도 굉장히 아름다운 약초이다. ▣ 엉겅퀴의 효능 1. 간 건강에 좋다. 엉겅퀴는 간 건강에 좋은 효능이 있다. 엉겅퀴에 함유된 실리마린 성분은 간세포의 신진대사를 증진시켜 줄 뿐만 아니라 간세포의 파괴를 막아 간 건강에 도움을 주며, 엉겅퀴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지방간을 개선시켜 주는데 효과적이다. 2. 혈액순환에 좋다. 엉겅퀴는 혈액순환, 혈압조절, 상처치료, 결석제거, 항균작용 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 3. 항암작용 엉겅퀴는 항암작용.. 2023. 6. 25.
당귀의 재배 방법 당귀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당귀의 뿌리에는 사포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타우린, 리놀산, 올레산 등 유익한 성분이 풍부하여 한방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당귀는 뿌리와 잎을 모두 식용으로 할 수 있으며, 뿌리는 생으로 먹거나 말려서 차로 마시고, 잎은 생으로 쌈을 싸먹거나 볶아서 먹을 수 있다. 당귀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양지바르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을 선택해야 하고 파종은 가을에 9월~10월에 하거나 봄에 3월~4월에 한다. 파종 후에는 물을 충분히 주고, 흙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해야한다. 당귀는 추위에 강한 작물이지만, 여름철에는 뜨거운 햇볕에 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당귀는 뿌리를 수확하기까이다. 지 약 2~3년이 걸리며, 뿌리는 10월~11월에.. 2023. 6. 23.
맷돌호박 원순 자르고 아들 순 키우기 맷돌호박은 원순을 자르고 아들 순을 키우기 위하여 처음부터 몇 가지 손질을 해야 커다란 누런 호박이 놀랄 정도로 많이 달린다. 모종을 심을 때부터 구더기를 크게 파고 충분한 거름을 주어야 한다. 특히 커피찌꺼기 등도 거름으로 매우 좋다. 퇴비거름 등을 흠뻑 넣어야 호박이 주렁주렁 열린다. 특히 오이나 가지도 같은 원리이다. ▣ 원순 자르기 맷돌호박을 원없이 많이 먹으려면 원순 자르기를 해야 한다. 방임해도 되지만 큰 호박을 수확할 수 없고 호박 수도 적다. 그렇기 때문에 원순을 꼭 잘라야 한다. 그러고 나서 아들 순을 관리해야 한다. 아들 순을 2~3개 정도 기르면 가장 호박이 많이 열리고 맷돌만큼 크게 자란다. 먼저 원순 자르기 모습이다. 자라나고 있는 호박원순과 원순 자르기를 한 후의 모습이다. ▣ .. 2023. 6. 10.
반응형